===================1일차===================
NIST
https://nvlpubs.nist.gov/nistpubs/Legacy/SP/nistspecialpublication800-145.pdf
* Deployment Models
- Community cloud: 요즘엔 잘 안 씀
- Public cloud: AWS
- Private cloud: 보안 및 성능
google.com/trends
releases.openstack.org
https://launchpad.net
*실습하기! Virtualbox 받기
[1] https://www.virtualbox.org 2개 다운로드(순서 중요)
1. Windows hosts
2. All ported platforms
- 버츄얼박스 설치하면 가상 네트워크가 깔린다(vNIC)
확인: 제어판\네트워크 및 인터넷\네트워크 연결\VirtualBox Host-Only Network
host only network라고 해서 ip 주소가 모두 같다
[2] ubuntu.com (ubuntu release eol) 에서 ubuntu 다운로드
(http://mirror.kakao.com/ubuntu-releases/xenial/)
- 16.04
- 64bit
- Desktop( server 버전에 GUI)
[3] devstack.org - open source project, open stack 설치를 간단하게 해주는 script
github.com : repository인데 openstack은 돈이 많아서 git.openstack.org 자체 서버 운영
http://git.openstack.org/cgit/openstack-dev/devstack
[4] shell script 가지고 openstack 설칙
===================2일차===================
[ 지난 수업 정리 ]
- devstack - test용 openstack
- VM에 openstack 설치하면 좋은점: 끌때 save해서 저장할 수 있음(reboot 필요 없음)
[ 오늘 수업 시작 ]
>>핵심어: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API (쉽게말해 웹서비스(http) 기반에서 뭘 한다? REST!)
- Openstack API: 어떤 URL 에 CRUD operation을 하겠다
- http Request 에서 중요한 것: URL, method
- URL엔 header와 body(Json format)가 따라간다
- header: X-Auth(토큰 값이 여기 들어간다)
- Body: get/call 할땐 body가 안가고, put/patch/post할때 필요 - 필요 parameter
- 즉, 여러가지 다양한 타입의 파라미터가 한번에 묶어서 보낼수있는 포맷이 필요 - Json 파일
- http Response 에서 중요한 것
- http response code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HTTP_%EC%83%81%ED%83%9C_%EC%BD%94%EB%93%9C
- 400번대: 사용자가 잘못한 것(404 not found)
- 202 accepted: VM 생성요청 들어왔을 때 만들어줄게 기다려!
- header와 body(Json format)가 함께 return 이된다
- 무슨 코드를 콜을 했는지에 따라 다르다
- get call을 한 경우 굉장히 중요 - 상세정보를 body에 담아줘야 함
- 최신버전 openstack(Queens)을 기준으로 end point가 약 30개인데 clinet가 이 url을 다 알 수 없음 - 그래서 keystone url만 알고있으면 end point list를 쫙 준다
- google 에서 chrome web store 검색 - rest client 검색 - YARC 설치
- openstack 서비스 떠있으면 이걸로 편하게 test
- linux에서는 커맨드라인에서 curl 명령어로 대체 가능
- API 정보는 docs.openstack.org/queens/api
- flavor은 관리자가 만든다
Q. Openstack으로 cloud 환경을 API로 쉽게 만들수 있음. 그러면 이렇게 API 로 만들고 없애고 하는 것을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하는것?
'Computer Science > Big dat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adoop & Spark 교육 - 3일차 (0) | 2018.11.01 |
---|---|
Hadoop & Spark 교육 - 2일차 (0) | 2018.10.31 |
CEP란? - (3)정리(CEP란, Hadoop과의 비교, Storm과의 비교, Esper) (2) | 2018.07.27 |
CEP란? - (2)Spark, Storm, Esper 차이 (0) | 2018.07.25 |
CEP란? - (1)개념(Complex Event Processing) (0) | 2018.07.25 |